사회 규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규범은 사회 구성원 간의 원활한 상호 작용을 위한 행동 기준이며, 법률, 관습, 도덕, 예절 등을 포괄한다. 규범은 집단 구성원 간에 공유되며 행동과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규제적 또는 금지적 성격을 지닌다. 규범은 자발적으로 형성되거나 의식적인 설계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규범 출현, 연쇄, 내면화 단계를 거친다. 규범에는 규제적, 구성적, 평가적 규범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구체성, 장수성, 보편성, 두드러짐 등이 강건성에 영향을 미친다. 규범을 따르지 않는 일탈 행동은 사회적 제재를 받을 수 있으며, 규범은 사회 통제와 사회 질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범 - 도덕률
도덕률은 상황이나 결과와 무관하게 행위의 옳고 그름이 절대적으로 정해져 있다는 윤리적 입장으로, 도덕적 기준이 사회적 관습이나 개인의 의견에 좌우되지 않는다는 도덕 보편주의와 구별된다. - 규범 - 법 규범
법 규범은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법률, 판례, 행정 규칙 등을 포괄하는 규칙 및 원칙으로, 상위 법규와 하위 법규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 규범, 도덕 규범, 윤리 이론과 관련되고 법 철학적 논의와 기술적 연구의 대상이 됩니다. - 사회 - 정치
정치는 자신을 닦고 남을 돕는다는 의미를 지니며 권력, 정책, 지배, 자치와 관련된 활동을 포괄하고, 인류 역사를 아우르는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 사회 - 이념
이념은 1796년에 앙투안 데스튀트 드 트라시가 고안한 용어로, 현실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한 일관된 사상 체계이며 사회 통합 또는 불평등 정당화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사회 규범 | |
---|---|
사회 규범 | |
![]() | |
정의 | 사람들이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유된 기대 또는 규칙 |
유형 | 공식적인 규범 (법, 규정) 비공식적인 규범 (관습, 전통) |
기능 | 사회 질서 유지 행동 예측 가능성 제공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 문화적 가치와 신념 강화 |
사회학적 중요성 | 사회 구조와 문화 연구의 핵심 개념 사회적 행동과 상호작용 이해에 필수적 사회 변동과 진화 분석에 중요 |
관련 개념 | 가치 문화 관습 법 제도 사회화 일탈 사회통제 |
주요 연구 분야 | 사회학 사회심리학 정치학 인류학 경제학 법학 |
연구 방법 | 관찰 연구 실험 연구 설문 연구 내용 분석 통계 분석 |
사회 규범의 변화 | 기술 발전 문화 변동 사회 운동 법 제정 또는 개정 |
영향 요인 | 개인의 사회화 문화적 배경 사회 계층 교육 수준 미디어 |
제재 | 긍정적 제재 (칭찬, 보상) 부정적 제재 (비난, 처벌) |
국제 관계에서의 규범 | 국제 규범 핵무기 사용 금지 주권 존중 인권 보호 |
주요 이론가 | |
마사 피노모어 | 국제 관계 규범 연구에 기여 |
니나 탄넨왈드 | 핵무기 사용 금지 규범 연구 |
H. 페이턴 영 | 사회 규범의 진화 연구 |
제프리 W. 레그로 | 국제주의 실패 원인과 규범 연구 |
리처드 K. 헤르만 & 본 P. 섀넌 | 국제 규범의 방어 연구 |
마틴 K. 라핀스키 & 로날드 N. 리말 | 사회 규범의 개념 명확화 연구 |
안나-카트린 프리슬 & 슈테판 킬리안 & 아냐 만 | 지속 가능한 소비 행동에 대한 사회 규범의 영향 연구 |
2. 정의
사회 규범은 특정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며, 사회 구성원들 간의 상호 작용을 원활하게 만든다. 사회 규범은 명시적인 법률뿐만 아니라, 불문율적인 관습, 도덕, 예절 등을 포괄한다. 강제성을 띠기도 하지만, 자발적인 준수를 통해 유지되는 경우도 많다.[15][24][16][10]
"관습", "풍습", "도덕", "세속적 도덕", "규칙", "법"과 같은 개념은 규범과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10] 제도는 여러 규범의 집합으로 볼 수 있다.[6] 규칙과 규범은 반드시 별개는 아니며, 둘 다 다양한 수준의 구체성과 형식성을 가질 수 있는 행동 기준이다.[24][13] 법은 규범의 매우 형식적인 형태이다.[15][24][16] 법, 규칙, 규범은 서로 충돌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법은 어떤 것을 금지하지만 규범은 여전히 허용할 수 있다.[13]
사회 규범은 역사적으로 사회 전체의 이익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며, 관습보다 합리화된 경우가 많다. 사회 규범에 따른 행동을 동조 행동이라고 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본래의 기능이 잊혀지고 사회적 행위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개인에게는 외부 규범의 내면화가 일어나 도덕이 되기도 한다. 법률은 국가의 규범에 따라 제정된다.
철학에서는 “진리”, “선”, “미” 각각에 “사고”, “의지”, “감정”에 대응하는 것이 있다. 규범에 관한 학문을 규범학(normative science영어)이라고 한다.
2. 1. 사회 규범의 특징 (영어 문서)
사회 규범은 학자마다 다양하게 정의하지만,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는 데에는 의견이 일치한다.[9]
- 집단 구성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사회적 특성을 지닌다.
-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 금지적이거나 규정적인 성격을 띤다.
- 사회 구성원 집단의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삶의 방식이다.
1965년, 잭 P. 깁스(Jack P. Gibbs)는 모든 규범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세 가지 기본적인 규범적 차원을 제시했다.[10]
#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행동에 대한 집단적 평가"
# "어떤 행동이 될 것인가에 대한 집단적 기대"
# 특정 행동에 대한 "반응"(특정 행동을 처벌하거나 유도하려는 시도 포함)[10]
로널드 제퍼슨(Ronald Jepperson), 피터 카첸스타인(Peter Katzenstein), 알렉산더 웬트(Alexander Wendt)는 "규범은 주어진 정체성에 대한 적절한 행동에 대한 집단적 기대"라고 설명한다.[11] 웨인 샌드홀츠(Wayne Sandholtz)는 공유된 기대가 규범의 ''결과''이지 규범의 본질적인 속성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이 정의에 반대한다.[24] 샌드홀츠, 마사 피네모어(Martha Finnemore), 캐서린 시킨크(Kathryn Sikkink)는 규범을 "주어진 정체성을 가진 행위자에게 적절한 행동 기준"으로 정의한다.[24][6] 이 정의에서 규범은 "해야 함"의 속성을 가진다.[24][6]
마이클 헥터(Michael Hechter)와 칼-디터 오프(Karl-Dieter Opp)는 규범을 "특정 상황에서 행동을 규정하고 금지하는 문화적 현상"으로 정의한다.[12] 사회학자 크리스틴 혼(Christine Horne)과 스테파니 몰본(Stefanie Mollborn)은 규범을 "집단 수준의 행동 평가"로 정의한다.[13] 이것은 규범이 행동에 대한 사회적 승인 또는 불승인에 대한 널리 퍼진 기대를 의미한다.[13] 학자들은 사회 규범이 개인적 구성물인지 집단적 구성물인지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9]
경제학자이자 게임 이론가인 페이튼 영(Peyton Young)은 규범을 "집단 내에서 자기 강화되는 행동 패턴"으로 정의한다.[4] 그는 규범이 공유된 기대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모든 사람이 따르고, 모든 사람이 따를 것으로 기대하며, 모든 사람이 다른 모든 사람이 따를 것으로 기대할 때 따르기를 원한다."[4] 그는 규범을 "여러 평형을 가진 상호 작용에서 사람들의 기대를 조정하는 장치"로 특징짓는다.[14]
2. 2. 규범의 차원 (영어 문서)
학자들은 규범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데 동의한다.[9]- 집단 구성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사회적 특성을 지닌다.
-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 금지적이거나 규정적인 성격을 띤다.
- 사회 구성원 집단의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삶의 방식이다.
1965년, 잭 P. 깁스(Jack P. Gibbs)는 모든 규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는 세 가지 기본적인 규범적 차원을 확인했다.[10]
차원 | 설명 |
---|---|
행동에 대한 집단적 평가 |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평가 |
행동에 대한 집단적 기대 | 어떤 행동이 될 것인가에 대한 기대 |
특정 행동에 대한 반응 | 특정 행동을 처벌하거나 유도하려는 시도[10] |
사회 규범은 사회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되기도 하고,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의도적인 노력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사회 규범은 세대 간 전승, 교육, 사회화 등을 통해 확산되고 유지된다.
로널드 제퍼슨(Ronald Jepperson), Peter Katzenstein, Alexander Wendt는 "규범은 주어진 정체성에 대한 적절한 행동에 대한 집단적 기대"라고 하였다.[11] 웨인 샌드홀츠(Wayne Sandholtz)는 이 정의에 반대하며, 공유된 기대는 규범의 ''결과''이지 규범의 본질적인 속성이 아니라고 주장한다.[24] 샌드홀츠, Martha Finnemore, Kathryn Sikkink는 규범을 "주어진 정체성을 가진 행위자에게 적절한 행동 기준"으로 정의한다.[24][6] 이 정의에서 규범은 "해야 함"의 속성을 지닌다.[24][6]
마이클 헥터(Michael Hechter)와 칼-디터 오프(Karl-Dieter Opp)는 규범을 "특정 상황에서 행동을 규정하고 금지하는 문화적 현상"으로 정의한다.[12] 사회학자 크리스틴 혼(Christine Horne)과 스테파니 몰본(Stefanie Mollborn)은 규범을 "집단 수준의 행동 평가"로 정의한다.[13] 이것은 규범이 행동에 대한 사회적 승인 또는 불승인에 대한 널리 퍼진 기대를 의미한다.[13]
경제학자이자 게임 이론가인 Peyton Young은 규범을 "집단 내에서 자기 강화되는 행동 패턴"으로 정의한다.[4] 그는 규범이 공유된 기대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모든 사람이 따르고, 모든 사람이 따를 것으로 기대하며, 모든 사람이 다른 모든 사람이 따를 것으로 기대할 때 따르기를 원한다."[4]
3. 사회 규범의 형성과 전파
집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규범을 채택할 수 있다. 일부 안정적이고 자기 강화적인 규범은 의식적인 설계 없이 자발적으로 등장할 수 있다.[12] 페이턴 영(Peyton Young)은 "규범은 일반적으로 상향식 방향 없이… 설계를 통해서라기보다는 개인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진화한다"라고 말한다.[4]
규범은 비공식적으로 발전하여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재량적 자극의 반복적인 사용의 결과로 점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48][19] 비공식적 규범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따르는 일반적인 관행을 나타낸다.[20]
또한 규범은 규범 기업가에 의해 의식적인 설계를 통해 만들어지고 발전될 수 있다.[21][22] 법률과 같은 법적 규범은 일반적으로 설계에서 발생한다.[12][23]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도로 오른쪽, 영국에서는 왼쪽으로 운전하는 규범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사회규범은 역사적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사회 전체의 이익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며, 관습보다 합리화된 경우가 많다. 이 사회규범에 따른 행동을 동조 행동이라고 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 본래의 기능이 잊혀지고, 사회적 행위의 조정이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인에게는 외부 규범의 내면화가 일어나 도덕이 된다.
철학에서는 “진리”, “선”, “미” 각각에 “사고”, “의지”, “감정”에 대응하는 것이 있다. 규범에 관한 학문을 규범학이라고 한다.
3. 1. 규범 출현과 전파 과정 (영어 문서)
규범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규범은 의도적인 설계 없이 자연스럽게 발생하기도 한다.[18][12] 예를 들어,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따르는 비공식적 규범은 특별한 법적 제재 없이도 널리 받아들여진다.[20] 근친상간에 대한 사회적 금기는 법으로 강제되지 않아도 대부분의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지켜지는 규범이다.[20]
반면, 규범 기업가에 의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지고 발전되는 규범도 있다.[21][22] 법과 같은 공식적인 규범은 명시적인 설계를 통해 만들어진다.[12][23] 예를 들어, 미국에서 도로 오른쪽으로 운전하는 규범이나 과속을 피하는 규범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규범이다.
Martha Finnemore와 Kathryn Sikkink는 규범의 생애주기를 세 단계로 설명한다.[6]
단계 | 설명 |
---|---|
규범 출현 | 규범 기업가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따르도록 설득하는 단계. |
규범 연쇄 | 규범이 널리 수용되고, 규범 지도자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규범 준수를 압박하는 전환점에 도달하는 단계. |
규범 내면화 | 규범 준수가 당연하게 여겨지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 |
특정 규범이 영향력을 갖게 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작용한다.[6]
- 정당성: 자신의 지위에 불안감을 느끼는 행위자는 규범을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
- 두드러짐: 바람직하고 성공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행위자가 가진 규범은 더 잘 퍼진다.
- 규범의 고유한 특성: 구체적이고, 오래 지속되며, 보편적인 규범은 두드러질 가능성이 높다.
- 경로 의존성: 기존 규범과 관련된 규범은 널리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다.
- 세계 시간적 맥락: 전쟁, 혁명, 경제 위기와 같은 체계적인 충격은 새로운 규범을 찾게 만들 수 있다.
Christina Horne과 Stefanie Mollborn은 규범 출현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제시한다.[13]
- 결과주의: 개인의 행동이 다른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칠 때 규범이 만들어진다.
- 관계주의: 사람들이 긍정적인 사회적 반응을 얻기 위해 규범을 만든다. 즉, 규범이 반드시 집단 전체에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주의 관점에서는 규범이 집단 전체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지지만, 관계주의 관점에서는 규범이 집단에 해로울 수도 있다고 본다.[13]
일부 학자들은 규범이 본질적으로 불안정하여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24][25][26][27] Wayne Sandholtz는 행위자가 권력을 가지고, 기존의 메타규범을 참조하고, 선례를 제시할 수 있을 때,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여 기존 규범을 바꿀 수 있다고 말한다.[28] 사회적 친밀성은 사회 규범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29]
3. 2. 규범의 영향력을 높이는 요인 (영어 문서)
마사 피네모어(Martha Finnemore)와 캐스린 시킹크(Kathryn Sikkink)는 특정 규범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6]- '''정당성:''' 자신의 지위와 명성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행위자는 규범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더 높다.
- '''두드러짐''': 바람직하고 성공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행위자가 갖고 있는 규범은 다른 사람들에게 더 퍼질 가능성이 높다.
- '''규범의 고유한 특성''': 구체적이고 오래 지속되며 보편적인 규범은 두드러질 가능성이 더 높다.
- '''경로 의존성''': 기존 규범과 관련된 규범은 널리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더 높다.
- '''세계 시간적 맥락''': 전쟁, 혁명, 경제 위기와 같은 체계적인 충격은 새로운 규범에 대한 탐색을 유발할 수 있다.
4. 사회 규범의 유형
사회 규범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마사 피네모어와 캐서린 시킨크는 규범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6]
- '''규제적 규범''': 행동을 질서 짓고 제약한다.
- '''구성적 규범''': 새로운 행위자, 이해관계 또는 행동 범주를 만든다.
- '''평가적 및 규범적 규범''': "해야 함"의 속성을 지닌다.
규범의 강건성(또는 효과)은 규범의 구체성, 장수성, 보편성, 두드러짐과 같은 요소로 측정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6][7]
- '''구체성''': 명확하고 구체적인 규범일수록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 '''장수성''': 역사가 있는 규범일수록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 '''보편성''': 지역적이고 특수한 주장이 아닌 일반적인 주장을 하는 규범일수록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 '''두드러짐''': 강력한 행위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규범일수록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크리스티나 호른은 규범의 강건성은 일탈 행위를 처벌하는 행위자들에 대한 지지 정도에 따라 형성되며, 규범을 집행하는 방법을 규제하는 규범을 "메타규범"이라고 한다.[59]
제프리 체켈은 규범의 효능에 대한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설명을 제시한다.[62]
- '''합리주의''': 행위자는 강제, 비용-편익 계산 및 물질적 인센티브 때문에 규범을 준수한다.
- '''구성주의''': 행위자는 사회적 학습과 사회화 때문에 규범을 준수한다.
사회규범은 역사적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사회 전체의 이익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며, 관습보다 합리화된 경우가 많다. 이 사회규범에 따른 행동을 동조 행동이라고 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 본래의 기능이 잊혀지고, 사회적 행위의 조정이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인에게는 외부 규범의 내면화가 일어나 도덕이 된다. 법률은 국가의 규범에 따라 제정된다.
4. 1. 내용에 따른 분류 (일본어 문서)
사회 규범은 내용에 따라 도덕 규범, 종교 규범, 관습 규범, 법 규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10]- 도덕 규범: 옳고 그름, 선과 악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는 규범이다. "거짓말을 하지 말라", "남을 돕자" 등이 그 예이다. 개인에게 내면화된 규범은 도덕이 되기도 한다.[10]
- 종교 규범: 특정 종교의 교리나 신앙에 따라 행동하도록 규정하는 규범이다. "예배 참석", "금식" 등이 그 예이다.
- 관습 규범: 오랜 기간 동안 반복되어 온 행동 양식으로,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규범이다. "명절에 차례 지내기", "결혼식에 하객으로 참석하기" 등이 그 예이다. 사회 규범은 관습보다 합리화된 경우가 많다.[10]
- 법 규범: 국가의 법률이나 규칙으로 제정된 규범이다. "횡단보도 건너기", "세금 납부" 등이 그 예이다. 법은 규범의 매우 형식적인 버전이다.[15][24][16] 법률은 국가의 규범에 따라 제정된다.
4. 2. 기능에 따른 분류 (영어 문서)
마사 피네모어와 캐서린 시킨크는 규범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6]- '''규제적 규범''': 행동을 질서 짓고 제약하는 규범이다. 예를 들어 과속 금지나 흡연 금지와 같이 특정 행동을 제한하고 통제한다.
- '''구성적 규범''': 새로운 행위자, 이해관계 또는 행동 범주를 만드는 규범이다. 예를 들어 국제기구 설립이나 시민 단체 활동과 같이 새로운 행위 주체, 이들의 이해관계, 그리고 행동할 수 있는 범주를 새롭게 규정한다.
- '''평가적 및 규범적 규범''': "해야 함"의 속성을 지닌 규범이다. 예를 들어 인권 존중이나 환경 보호와 같이 마땅히 지켜야 할 가치를 담고 있다.
4. 3. 명시성에 따른 분류 (영어, 일본어 문서 참조)
기술적 규범(Descriptive norms영어)은 특정 상황에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하는 행동을 나타낸다. 이는 판단을 내리지 않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차장 바닥에 쓰레기가 없다는 것은 그곳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다는 기술적 규범을 전달한다.[57][63]규범적 규범(Injunctive norms영어)은 특정 행동에 대한 집단의 승인을 전달한다. 이는 개인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규정한다.[57][63][64][65] 다른 사람이 바닥에 있는 쓰레기를 줍고 버리는 것을 보고, 그룹 구성원은 쓰레기를 버리지 말아야 한다는 규범적 규범을 알 수 있다.
명령적 규범(Prescriptive norms영어)은 사회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따르는, 우리가 해야 하는 행동을 나타내는 비문어적인 규칙이다.[66] 선물을 받았을 때 감사를 표하거나 감사 카드를 쓰는 것은 미국 문화에서 명령적 규범의 한 예이다.
금지적 규범(Proscriptive norms영어)은 우리가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에 대한 사회의 비문어적인 규칙이다.[66] 이러한 규칙들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처음 만난 사람에게 볼에 키스하는 것이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허용되는 인사이지만, 미국에서는 허용되지 않으므로 금지적 규범을 나타낸다.
5. 사회 규범과 일탈 행동
일탈행위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공동체 또는 사회에서 수용하는 규범에 비순응"하는 것으로 정의된다.[31] 집단 구성원이 규범을 따르지 않으면 일탈자로 낙인찍히며, 사회에서 추방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아동의 일탈 행위는 어느 정도 예상된다. 클리포드 R. 쇼에 따르면 범죄는 가장 극단적인 일탈 형태 중 하나이다.[32]
"정상"으로 간주되는 것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문화에 따라 상대적이다. 심리학에서 집단 규범을 일상적으로 어기는 개인은 "제도화된 일탈자"가 될 위험이 있으며, 규범을 준수하지 못한 것에 대해 다른 집단 구성원의 판단을 받을 수 있다. 처음에는 집단 구성원이 비순응자에게 압력을 가하고, 대화를 시도하거나 그가 왜 행동 [https://en.m.wiktionary.org/wiki/expectation 기대]를 따라야 하는지 설명하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행동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33] 특히 아직 잘 모르는 신규 구성원의 경우, 집단은 임의 자극을 사용하여 개인의 행동을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 그러나 구성원이 계속해서 불복종하면, 집단은 그들을 [https://en.m.wiktionary.org/wiki/give_up 포기]할 수 있다. 집단이 반드시 회원 자격을 취소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상적인 고려만 할 수 있다.[48] 예를 들어, 직원이 회의에 늦으면 시간 엄수라는 사무실 규범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상사 또는 동료가 그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나중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물어볼 수 있다. 행동이 계속되면 결국 그 개인이 "항상 늦으므로" 집단은 그가 없이 회의를 시작할 수 있다. 집단은 개인의 불복종을 일반화하고 즉시 무시하며, 향후 집단 의견 불일치에서 구성원의 영향력과 발언권을 줄인다.
일탈은 규범에 어긋날 때 경험하는 여러 감정을 유발한다. 그러한 감정 중 하나는 죄책감이며, 윤리와 연결되어 도덕적 의무의 주요 대상이 된다. 죄책감은 행위가 행해진 후 의문을 제기하는 행위를 따른다.[35] 죄책감은 자기 자신에게 부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감정 상태 모두로 묘사될 수 있다. 이는 불쾌한 감정이자 자기 처벌의 한 형태이다. "'더러운 손"의 은유처럼,[36] 자신을 얼룩지게 하거나 오염시키고 따라서 더러움을 스스로 씻어내야 한다. 그것은 자기 자신과 마주하는 보상의 한 형태이자 다른 사람들의 분노와 처벌의 가능성에 복종하는 것이다. 죄책감은 행동과 감정 모두에서 더 "명예로운" 행동을 하게 하는 자극이 된다.
2023년 연구에 따르면 비산업 사회는 규범 위반에 대한 처벌에서 다양했다. 처벌은 규범 위반의 유형과 사회의 사회경제적 시스템에 따라 달랐다. 이 연구는 "평판 처벌이 평등주의 및 식량 저장의 부재와 관련이 있고, 물질적 처벌은 식량 저장의 존재와 관련이 있으며, 신체적 처벌은 사냥에 대한 의존도가 더 클수록 중간 정도로 관련이 있고, 사형 처벌은 사회적 계층화와 중간 정도로 관련이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37]
5. 1. 일탈에 대한 관용 (영어 문서)
일탈행위에 대한 집단의 관용은 구성원마다 다르다. 모든 집단 구성원이 규범 위반에 대해 동일하게 대우받는 것은 아니다. 개인은 순응을 통해 좋은 행동의 "준비금"을 축적하여 나중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이성 크레딧''은 집단 행동 기대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통화를 제공한다.[34]예를 들어, 교사는 과거에 "좋은 신용"을 쌓은 우등생이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반복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보다 더 관대하게 대할 수 있다. 과거 실적이 특이성 크레딧을 쌓는 데 도움이 되지만, 일부 집단 구성원은 처음부터 더 많은 "크레딧"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아역 영화 배우가 대학에 입학하면 다른 신입생보다 학교 규범을 따르는 데 더 많은 여유를 가질 수 있는 것처럼, 다른 집단에서 특이성 크레딧을 가져올 수도 있다. 지도자나 고위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더 많은 크레딧을 가지고 시작하여 때로는 "규칙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48][34] 하지만 이들의 특이성 크레딧도 무한하지 않아서, 불복종이 심해지면 집단의 거부에 직면할 수 있다.
6. 사회 규범의 역할과 기능
사회 규범은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구성원들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하여 사회적 상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54] 하인리히 포피츠는 사회 규범이 타인의 미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 사회적 상호 작용을 빠르게 한다고 보았다.
사회 규범은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하고 공동체의 이익을 증진하는 역할도 한다. 사회 규범은 역사적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 전체의 이익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만들어졌으며, 관습보다 합리화된 경우가 많다. 시간이 지나면서 본래의 기능은 잊혀지고 사회적 행위 조정 기능을 수행하며, 개인에게는 외부 규범이 내면화되어 도덕이 되기도 한다. 법률은 국가의 규범에 따라 제정된다.
6. 1. 사회 통제 (영어 문서)
형식적인 사회 법률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규범은 여전히 상당한 사회 통제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44] 규범은 행동을 규제하는 진술이며, 특정 상황에서 허용되는 행동을 규정한다. 문화, 인종, 종교,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규범은 타인을 해치지 않는 것, 황금률, 약속을 지키는 것 등 일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행동의 기초가 된다.[45]사회적 규범은 공식적으로(예: 제재를 통해) 또는 비공식적으로(예: 신체 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신호를 통해) 시행될 수 있다.[47] 개인은 종종 집단 구성원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심리적 자원을 얻기 때문에, 집단은 '자유재량 자극'을 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집단은 구성원의 집단 규범 준수에 따라 자원을 더 제공하거나 빼앗을 수 있으며, 보상과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 구성원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통제한다.[48] 사회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개인이 집단이 통제하는 자원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순응할 가능성이 더 높다.[48]
6. 2. 사회학적 관점 (영어 문서)
사회학에서 규범은 개인의 행동에 대한 처벌 또는 보상이라는 제재를 통해 사회 시스템을 구별하고, 특정 사회 환경에 속하는 사람들을 구분하는 경계를 만든다.[53]
탈콧 파슨스는 규범이 모든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사람들의 상호 작용을 지시한다고 보았다. 반면, 칼 마르크스는 규범이 사회에서 역할을 만들어 다양한 수준의 사회 계급 구조를 가진 사람들이 기능하도록 돕는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권력 역학이 사회 질서를 만든다고 주장했다.[50]
제임스 콜먼은 규범이 개인의 목표 지향적 행동에서 시작되며, 행동의 이익이 비용보다 클 때 사회적 규범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또한 규범의 효과는 "최적의 사회 질서"에 기여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제재를 가하는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했다.[53]
하인리히 포피츠는 사회 규범이 타인의 미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 우연성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을 가속화한다고 보았다. 그는 행동 표준화의 중요한 요소로 제재[54]와 사회적 역할을 제시했다.
사회규범은 역사적 발전 과정을 통해 사회 전체의 이익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며, 관습보다 합리화된 경우가 많다. 시간이 흐르면서 본래의 기능은 잊혀지고 사회적 행위 조정 기능을 수행하며, 개인에게는 외부 규범의 내면화가 일어나 도덕이 된다. 법률은 국가의 규범에 따라 제정된다.
7. 결론
지난 수십 년 동안 여러 이론가들은 사회적 규범을 이론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노력해 왔다. 이들은 행동적 기대를 그래프로 수량화하거나 준수의 논리를 도표화하여 개인이 규범을 따를지 여부를 예측하고자 했다. 게임 이론은 규범에 대한 경제적인 개념을 제공하여, 개인이 가능한 행동 결과의 비용이나 이익을 계산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틀 아래에서 규범을 준수하거나 위반하는 선택은 더욱 의도적이고 정량화 가능한 결정이 된다.
참조
[1]
논문
An explication of social norms
[2]
논문
When does a social norm catch the worm? Disentangling social normative influences on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ur
[3]
서적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4-18
[4]
논문
The Evolution of Social Norms
2015
[5]
논문
The Nuclear Taboo: The United States and the Normative Basis of Nuclear Non-Use
1999
[6]
논문
International Norm Dynamics and Political Change
https://www.jstor.or[...]
2021-04-17
[7]
논문
Which Norms Matter? Revisiting the "Failure" of Internationalism
https://www.jstor.or[...]
2021-04-17
[8]
논문
Defending International Norms: The Role of Obligation, Material Interest, and Perception in Decision Making
https://www.jstor.or[...]
2021-04-18
[9]
논문
Mapping the Social-Norms Literature: An Overview of Reviews
https://doi.org/10.1[...]
2020
[10]
논문
Norms: The Problem of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https://www.jstor.or[...]
2021-12-23
[11]
서적
The Culture of National Security: Norms and Identity in World Politic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1-09-20
[12]
서적
Social Norms
https://www.jstor.or[...]
Russell Sage Foundation
2021-05-22
[13]
논문
Norms: An Integrated Framework
https://www.annualre[...]
2021-05-22
[14]
서적
Social Norms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2021-05-22
[15]
서적
Institutions and social conflict
http://worldcat.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6]
서적
Beyond Continuity: Institutional Change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7]
논문
Testing an Integrated Theory: Distancing Norms in the Early Months of Covid-19
2021
[18]
논문
Spontaneous Order
1989
[19]
간행물
Rational lives: norms and values in politics and society
[20]
서적
Sociology
[21]
논문
Social Norms and Social Roles
https://dash.harvard[...]
1996
[22]
서적
Activists beyond Borders: Advocacy Networks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5-22
[23]
간행물
Sociology in our times
[24]
백과사전
International Norm Change
2017
[25]
논문
Dynamics of International Norm Change: Rules against Wartime Plunder
https://doi.org/10.1[...]
2021-05-07
[26]
서적
The Invisible Constitution of Politics: Contested Norms and International Encounter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5-07
[27]
논문
Rethinking the life cycles of international norms: The United Nations and the global promotion of gender equality
https://doi.org/10.1[...]
2012-03-01
[28]
서적
International Norms and Cycles of Chan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5-13
[29]
논문
Social proximity and the erosion of norm compliance
2022
[30]
논문
The emergence of norms in competitive decision-making groups
[31]
서적
Conformity, Deviance, and Crime
W. W. Norton & Company, Inc.
[32]
서적
Deviance: Theories on Behaviors That Defy Social Norms: Theories on Behaviors That Defy Social Norms
ABC-CLIO
2023-06-26
[33]
서적
The Role of Social Variables
Cambridge UP
2006
[34]
논문
Conformity, status, and idiosyncrasy credit
[35]
서적
Oxford UP
1995
[36]
서적
Chapter 6: Basing Ethics on Emotion. Practical Guilt: Moral Dilemmas, Emotions, and Social Norms
[37]
논문
Norm violations and punishments across human societies
2023
[38]
논문
More Order Without More Law: A Theory of Social Norm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1994-10
[39]
논문
The silence of the library: Environment, situational norm, and social behavior
https://web.archive.[...]
2003
[40]
논문
Mailed personalized normative feedback as a brief intervention for at-risk college drinkers
2002
[41]
논문
Descriptive social norms and motivation to vote: everybody's voting and so should you
2009
[42]
논문
Testing for crowd out in social nudges: Evidence from a natural field experiment in the market for electricity
2019-03-19
[43]
서적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orms. Current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1965
[44]
논문
Using Social Norms as a Substitute for Law
https://works.bepres[...]
2016
[45]
서적
Introduction. Social Norms
Russell Sage Foundation
2001
[46]
논문
The Synthetic Necessary Truth Behind New Labour's Criminalisation of Incest
2013
[47]
논문
Time and Punishment: How Individuals Respond to Being Sanctioned in Voluntary Associations
https://www.journals[...]
2021
[48]
서적
Group influences on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2
[49]
논문
The development and enforcement of group norms
1984
[50]
서적
Oxford Dictionary of Sociology
[51]
서적
Strategizing impression management in corporations: cultural knowledge as capital. Cultural implications of knowledge sharing, management and transfer: identifying competitive advantage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09
[52]
서적
Order without Law: How Neighbors Settle Disputes
1994
[53]
서적
SOCIOLOGY OF LAW AS THE SCIENCE OF NORMS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2
[54]
서적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ociology
Sage
2000
[55]
서적
Chapter 9: B.F. Skinner. Deviance: Theories on Behaviors That Defy Social Norms
[56]
논문
The Pervasiveness and Persistence of the Feminine Beauty Ideal in Children's Fairy Tales
https://www.jstor.or[...]
2003-10
[57]
논문
A focus theory of normative conduct: Recycling the concept of norms to reduce littering in public places
1990
[58]
서적
Social Norms
Russell Sage Foundation
2001
[59]
논문
A Social Norms Approach to Legitimacy
https://doi.org/10.1[...]
2009
[60]
논문
Measuring Norms and Normative Contestation: The Case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https://doi.org/10.1[...]
2019
[61]
논문
Resiliency dynamics of norm clusters: Norm contest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s://www.cambridg[...]
2018
[62]
논문
Why Comply? Social Learning and European Identity Change
https://www.jstor.or[...]
2001
[63]
논문
Descriptive social norms as underappreciated sources of social control
2007
[64]
논문
The constructive, destructive, and reconstructive power of social norms
http://csusm-dspace.[...]
2007
[65]
논문
Descriptive Norms as an Additional Predictor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eta-Analysis
2003
[66]
논문
Social rules for managing attempted interpersonal domination in the workplace: Influence of status and gender
2001
[67]
서적
Attitudes, behavior, and social context : the role of norms and group membership
https://www.worldcat[...]
L. Erlbaum Associates
2000
[68]
논문
Author index for volume 50
http://dx.doi.org/10[...]
1991
[69]
서적
Game-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Emergence of Social Norms. Social Norms
2001
[70]
서적
The Grammar of Society: The Nature and Dynamics of Social No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7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